Windows

Windows Failover Cluster - FreeNAS를 사용한 Storage 공유

홍덕화 2018. 12. 22. 21:59

FailOver Cluster란


내부 결함성(고 가용성, HA) 향상을 위해 제공되는 시스템/서비스로 시스템이 중단 없이 계속

가동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.



FreeNAS


NASNetwork Attached Storage의 약자이다.


FreeNASOSFreeBSD란 오픈소스인 Unix와 유사한 OS이다.


apple의 iso도 FreeBSD기반이다.


 

FreeNAS는 FreeBSD의 제작 버전으로, 웹 기반 인터페이스로 NAS를 완벽하게 구성하였다.




실습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








1. Server 1 과  Server 2는 FreeNAS storage를 공유한다.


2. Server 1과 2에 각 각 FailOver Cluster 서버를 구축한다.


3. 가상의 Cluster를 생성하여 Client가 Server로 직접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 

Cluster를 통하여 접속을 하면 

주 서버가 고장이 나도 보조 서버에 의해 같은 서버로 접속을 하도록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. 



Heartbeat 


Server1과 Server2 사이에 연결된 또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을 의미한다.

보조 서버가 주 서버의 상태를 체크하여 주 서버가 불능 상태가 되었을 때

보조 서버가 주 서버의 역할을 하기위한 상태 체크를 위해 사용된다.




실습


vmware에 FreeNAS를 설치한다.




other선택 후 Version에서 FreeBSD version 10 and earlier 선택





원하는 가상머신의 이름 설정






2GB로 설정한다.





ISO 파일을 넣는다.






그 후 가상머신을 실행하면 위와 같은 창이 뜨게 된다.





9를 입력하여 install 한다.





나오는 과정들은 모두 OK하고 EXIT한다.





그 후 8을 입력한다.





Yes를 선택한다





Hard Disk를 SCSI 방식으로 2GB 3개를 만든다.





다시 실행 시킨 뒤 2번을 입력하여 IP설정을 한다.





DHCP를 사용하지 않고 STATIC을 사용하기위해 NO선택





사용할 IP를 입력한다.

1.0.0.6 -> 1.0.0.5 

(실수로 잘못 입력한 뒤 캡쳐를 해벌임)





사용할 Subnet masks의 값을 입력한다.





Gateway 값을 입력한다.





DNS주소를 입력한다.





IPv6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  No선택


그 후 W2k8-mem1 1번째 멤버 서버에서 FreeNAS의 IP를 입력하여 접속한다.





https://1.0.0.5아까 입력한 FreeNAS IP를 입력하고 접속한다


IDadmin 비밀번호는 freenas 소문자





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뜬다.





위의 Disk -> Management에 들어간 뒤 +를 눌러서 Disk를 추가한다





이 전에 추가한 SCSI 방식의 2GB 하드디스크를 선택한다.

Quorum 입력

ZFS 선택






2번째로 추가한 하트를 선택하고 Cluster1, ZFS





3번째로 추가한 하트를 선택하고 Cluster1, ZFS





3개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.





Disk에서 ZFS를 선택한다.

+눌러서 추가한다.





da0 - Quorum으로 설정한다.





da1 - Cluster1로 설정한다.





da2 - Cluster2로 설정한다.





3개 모두 추가한 뒤 Apply change를 눌러서 저장한다.





Pools - Management 에서 +눌러서 추가한다.








위와 같이 설정한 뒤 Apply change를 눌러준다.





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고 나온다.





Services -> iSCSI Target 선택






Enable을 선택하고 Base name을 iqn.hong. 으로 변경한다.





save and restart 클릭





다른 설정 없이 add 클릭




이 전과 마찬가지로 Apply change 클릭





Initiator Group으로 이동 후 추가한다.








위와 같이 입력한다.







+눌러서 다른 설정 없이 add한다

3번 실시한다





그 후 W2k8에 가서 iSCSI 초기자 속성에 간다.






FreeNAS의 IP를 입력한다.





대상에 가보면 Disk가 모두 비활성 되어있는데 활성 시키기 위하여 연결 클릭.





3개 모두 연결한다.





세개 다 연결됨으로 바뀌었다.





즐겨찾는 대상을 보면 즐겨찾는 대상으로 추가되어있다.





디스크 관리를 킨다.






디스크 초기화 선택





MBR을 선택한 뒤 확인을 누른다.





새 단순 볼륨을 만든다.





계속 다음을 클릭하다가 볼륨 레이블을 아까 만든 Qourun으로 입력한다.






위의 방식으로 디스크 2, 3 에 Cluster1, 2 를 만든다.


그 후 2번째 멤버서버로 간다.





포털 검색을 선택하여 FreeNAS의 IP를 입력한다.





3개 다 연결한다.





디스크 관리에 가면 자동으로 디스크가 온라인 되어있다.





멤버서버 둘 다 기능에서 장애 조치(failover) 클러스터링을 설치한다.





장애 조치 클러스터 관리자를 실행한 뒤 구성 유효성 검사를 실시한다.





멤버서버 두개를 추가한다.






그 후, 유효성 검사를 실시한다.

디스크 액세스 대기 시간 확인 테스트에서 실패를 많이한다.

그러면 유효성 검사를 다시 해야한다.





유효성 검사 완료화면






멤버서버를 두 개를 추가한다.





Cluster의 IP를 입력한다.






클러스터가 다 만들어지면 서비스 또는 응용 프로그램 구성을 선택한다.





DHCP 서버를 선택한다.





DHCP Cluster의 IP를 입력한다.





사용할 클러스터 디스크를 선택한다.






DHCP 서비스가 온라인이 되어있다.





그 후 DHCP 설정을 한다.


DHCP 설정을 마친 뒤 W7으로 간다.





IP설정을한다.

DHCP로 IP를 받기 때문에 자동으로 IP 주소 받기를 선택한다.


그 후 DHCP로 IP를 잘 받아오는지 확인하기 위해 cmd창에서 release한 뒤 renew하여 

IP 받아오는 것을 확인한다.






1.0.0.9 - DHCP Cluster에서 받아오는 것을 볼 수 있다.





Failover Cluster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DHCP 역할을 하던 멤버서버를 정지 시킨다.


그 후 다시 W7에서 release, renew하여 IP를 잘 받아오는지 확인한다.





고 가용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 전의 DHCP를 제공하던 멤버서버가 정지되어도

다른 멤버서버에서 DHCP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IP를 잘 받아 오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.